넷플릭스, 각국 규제에 콘텐츠 제공 어쩌나
상태바
넷플릭스, 각국 규제에 콘텐츠 제공 어쩌나
  • 김상일 기자
  • 승인 2022.01.03 1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간 기업 및 정부 차원에서 OTT 업체 규제 나서
러시아, 넷플릭스에 공영방송 채널 전송 의무화
향후 실시간 선형(Linear) 방송 도입 가능성은?
넷플릭스의 이용자와 이용률 급증과 기존 방송 서비스를 넘는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
넷플릭스의 콘텐츠가 기존 방송 서비스를 넘어 다양한 영역에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출처: 넷플릭스)

[애틀러스리뷰=김상일 기자] 넷플릭스(Netflix)의 이용자와 이용률 급증과 기존 방송 서비스를 넘는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면서 전 세계에서 넷플릭스를 견제하는 민간 기업 및 국가 차원의 행보가 보여지고 있다.

민간 기업 차원의 견제는 미디어 업체들이 중심이 된 콘텐츠 제공 중단과 통신사업자들 중심의 네트워크 인프라 비용 부담이 주를 이룬다. 다수의 인기 영화와 동영상을 보유한 일부 미디어 업체들은 넷플릭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고 자체적인 OTT 서비스에 독점 작품으로 유통하려는 전략을 보인다. 이는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투자를 더 확대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통신사업자 처지에서는 넷플릭스 서비스 이용에 따른 유무선 네트워크 트래픽이 급증하면서 인프라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이 펼치기 시작했다. CDN 업체인 샌드바인(Sandivine)에 따르면, 글로벌 데이터 그래픽 중 넷플릭스는 9.39%를 차지해 구글(20.99%), 메타(15.39%)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중이다.

넷플릭스의 서비스 이용 급증으로 인해 네트워크 혼잡을 야기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통신사업자들은 투자비를 늘려야 하는데, 이 비용을 넷플릭스와 분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미 국내에서는 SK브로드밴드가 넷플릭스와 망이용료 관련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유럽에서는 통신사업자 13개 업체가 미국의 테크 기업에 통신 네트워크 구축 비용의 일부를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구체적인 업체명이 명시되진 않았지만, 넷플릭스는 포함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 통신사업자들의 2021년 투자비는 6년 만에 최대치인 526억 유로를 기록했다.

 

일부 국가는 넷플릭스 등 OTT 업체에 대한 국가 차원의 규제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출처: 넷플릭스)
일부 국가는 넷플릭스 등 OTT 업체에 대한 국가 차원의 규제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출처: 넷플릭스)

 

일부 국가에서는 세계 최대 OTT 업체인 ‘넷플릭스’에 국가 차원의 규제 의무화를 추진 중이다. 이와 관련해 모든 동영상을 사전에 검열을 받아야 하는 중국에서는 넷플릭스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고, 프랑스의 경우 지난 12월, 유럽연합(EU) ‘시청각 미디어 서비스 지침(Audiovisual Media Services Directive)’의 일환으로 해외 OTT 업체들이 프랑스에서 발생한 수입의 20%를 현지 콘텐츠 제작에 투자하도록 하는 규제를 실행했다. 이를 통해 자국 영화와 방송 산업의 활성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이번 규제 시행으로 인한 OTT 업체들의 로컬 콘텐츠 투자액은 2.5억~3억 유로가 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80%는 시리즈물 제작에, 20%는 영화 제작에 할당된다. 또 업체별 매출 규모를 감안하면, 넷플릭스의 로컬 콘텐츠 투자 할당액 규모가 가장 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러시아의 인터넷 및 통신 규제 담당 기관인 ‘로스콤나드조르(Roskomnadzor)’가 넷플릭스를 정식 ‘시청각 서비스(audio-visual services)’로 등록시킨 데 이어, 국영 방송 채널 의무 송출 규제를 부과할 것이라는 소식을 알렸다.

로스콤나드조르는 10만 명이 넘는 일일 이용자를 보유한 OTT 업체들을 대상으로 정식 방송 서비스 업체로 등록해 관련 법률과 규정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으며, 특히 등록된 OTT 업체들은 연방 정부가 운영하는 20개의 국영 방송 채널도 송출해야 한다.

이에 따라 2022년 3월부터 넷플릭스는 국영 ‘채널 원(Channel One)’, 엔터테인먼트 중심 채널 ‘NTV’, 러시아 정교회 채널 ‘스파스(Spas)’ 등을 자사 가입자들에게 송출해야 한다.

또 넷플릭스는 제공하는 콘텐츠에 ‘극단주의(extremism)’를 조장할 수 있는 내용을 금지하는 관련 법을 준수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사실상 러시아 당국의 정책과 방침에 반대하는 내용을 송출하지 못하게 하는 규제로, 넷플릭스를 ‘방송 서비스’ 사업자로 규정하고 국영 채널 등의 의무송출과 콘텐츠 내용에 제한을 두는 의무사항을 적용하려는 것이다.

러시아의 이번 조치는 향후 넷플릭스가 콘텐츠를 전달하는 방식의 변화를 유발하는 계기가 될 것인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러시아의 국영방송 전송이 어떤 형태로 진행될지 여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채널 및 실시간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것이 의무화된다면 넷플릭스는 기존 콘텐츠 제공방식에 벗어나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

넷플릭스는 월정액 기반 구독형 서비스로서 광고가 없으며, 콘텐츠를 주문형(VoD)으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특정 주제 콘텐츠로 구성되는 채널을 만들고 이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넷플릭스 다이렉트(Netflix Direct) 이미지. (출처: 넷플릭스)
넷플릭스 다이렉트(Netflix Direct) 이미지. (출처: 넷플릭스)

 

사실 넷플릭스는 이미 2020년 11월에 프랑스 일부 지역에서 ‘넷플릭스 다이렉트(Netflix Direct)’로 명명된 실시간 채널(linear TV) 형태의 콘텐츠 제공 방식을 테스트한 바 있다. 이는 유료 가입자를 대상으로 프랑스 및 미국에서 제작된 일부 영화와 TV 프로그램을 실시간 채널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당시 넷플릭스는 다수의 프랑스 시청자들이 스스로 콘텐츠를 선택하기보다 제공되는 프로그램 시청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테스트의 배경을 밝히기도 했다.

앞서 넷플릭스는 시청자가 원하는 콘텐츠들을 무작위로 재생해주는 ‘셔플(shuffle)’ 기능을 테스트했다. 셔플 기능이 이용자 각 개인들에게 적용되는 것이었던 반면, 넷플릭스 다이렉트는 TV 방송처럼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사람이 제공되는 콘텐츠를 그대로 시청하게 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넷플릭스의 리드 헤이스팅스(Reed Hasting) CEO는 지난 2021년 9월 스포츠 등 일부 장르의 영상 콘텐츠에 대해 실시간 스트리밍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다만, 당시 상황을 고려했을 때 스포츠는 중계권 획득에 상당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이보다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비용을 투입하는 것이 좋으며, 넷플릭스 이용자들이 광고에 의존하는 경향이 큰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원하지 않는다는 입장이었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할 때, 넷플릭스는 현재 경쟁력 유지를 위해 VoD 방식을 유지하고 관련 콘텐츠 투자를 늘리고 있는 것이며, 향후 고객들의 시청행태 변화 등에 따라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을 도입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러시아 정부의 요청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 프랑스에서의 선형 방송 테스트를 더 확대할 것인지 등, 넷플릭스의 서비스 제공방식 변화에 대한 단초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간 방송의 도입은 광고 기반 저가 요금제 도입 등 넷플릭스 BM 상의 큰 변화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해서 봐야 할 이슈다.



당신만 안 본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