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미래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신시장 발판 다지나
상태바
국내 미래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신시장 발판 다지나
  • 박세아 기자
  • 승인 2021.01.28 16: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KT-한국공항공사-한화시스템 등 UAM 사업화 MOU
UAM 인프라-서비스-기체-연구 부문 연구개발 추진 예정
세계 곳곳 UAM 사업 추진, 업체 간 협력 사례도 눈길
출처: 우버
2016년부터 UAM 사업에 나선 우버. (출처: 우버)

[애틀러스리뷰=박세아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박정호)이 한국공항공사(사장 손창완), 한화시스템(대표이사 김연철), 한국교통연구원(원장 오재학)과 함께 도심항공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 이하 UAM)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SKT는 항공교통 통신 네트워크 모델 실증 및 구축을, 한국공항공사는 UAM 이착륙장 구축/운영과 UAM 교통관리 분야, 한화시스템은 UAM 기체 개발 및 항행·관제·ICT 솔루션 개발 등을 담당한다. 한국교통연구원은 UAM 서비스 수요예측 및 대중 수용성 등에 관한 연구를 맡는다.

UAM은 전기 구동 수직이착륙기(eVTOL)를 활용한 항공 이동 서비스로, 승용차로 1시간 거리를 20여 분 만에 도착할 수 있고 다양한 육상 교통수단과의 연계도 가능하다. UAM 분야는 도시화 문제 해결에 최적의 방법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다양한 업체들이 해당 시장 선점을 위해 나서고 있다.


글로벌 UAM 시장 규모 증가 전망

시장조사업체 ResearchAndMarkets에 따르면 글로벌 UAM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79억 달러에 달할 것이며, 효율적인 물류 및 교통수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성장을 견인할 전망이다.

그중 유럽은 UAM 시장에서 급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여러 유럽 국가들이 도시 내 드론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스마트 시티 및 지역 사회에 대한 유럽 혁신 파트너십(European Innovation Partnership on Smart Cities and Communities)의 UAM 이니셔티브를 형성하기도 했다.

에어메트로(Air Metro) 부문의 경우 오는 2028년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첫해 9억 달러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에는 에어메트로 운행 차량 수가 2028년 4,100대에서 최대 23,000대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공항 셔틀과 에어택시 부문에서는 시장 가치가 5,000억 달러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세계 움직임에 따라 우리나라 정부도 지난해 6월 범정부 협의체 'UAM Team Korea'를 결성했으며 2025년 UAM 상용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을 확정,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2025년 거점과 거점을 연결하는 최초 서비스 도입을 향해 ▲도심항공교통 선도국가로의 도약 ▲시간과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 ▲미래형 일자리 창출 가속화 세 가지 비전을 제시했다.

이에 맞춰 정부는 국내 여건에 맞는 한국형 운항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안전 확보를 위한 제도 설립 ▲민간 역량 확보 및 강화를 위한 환경 조성 ▲대중 수용성 확대를 위한 단계적 서비스 실현 ▲이용 편의성을 위한 인프라 및 연계 교통 구축 ▲지속가능하고 건전한 산업 생태계 조성 ▲국제 협력 확대 등의 세부 추진 방향을 내놓았다.

도심항공교통은 기체(부품) 제작·유지보수(MRO), 운항·관제, 인프라, 서비스 및 보험 등 종합적인 산업생태계를 형성, 국내 시장 규모가 2040년까지 13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현재 국내는 공항, 헬기장과 같은 시설 인프라 부족, 기술, 안전성 확보 등의 측면에 중점을 둬야 하며, 상용화 시점까지 아직 갈 길이 먼 상황이다.

 

전 세계 UAM 사업 추진 활발

지난 1월에는 유럽연합이 추진하는 UAM 시연 비행 프로그램 ‘AMU-LED(Air Mobility Urban-large Experimental Demonstration)’ 프로젝트가 추진될 도시가 결정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AMU-LED는 유럽연합, 유로컨트롤, 기업 등이 출자해 진행되는 ‘Single European Sky ATM Research’ 기술혁신 프로그램 ‘U-스페이스’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프로젝트다.

이를 통해 유럽연합은 향후 2년 간 유럽 내 여러 도시에서 UAM을 테스트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를 실현하기 위해 비상사태를 포함한 여러 도시 환경에서의 에어택시, 화물 배송 드론 및 무인비행체 등 다양한 유형의 UAM 통합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 선택된 도시들은 스페인의 산티아고 데 콤보스텔라(Santiago de Compostela), 영국의 크랜필드(Cranfield),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Amsterdam) 및 로테르담(Rotterdam) 등이다.

AMU-LED는 다양한 무인 항공 시스템을 결합해 100시간 이상의 비행을 통해 여러 활용 사례와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게 되며, 에어택시와 화물 운송, 물품 및 의료장비 배달, 사회기반시설(infrastructures) 검사, 경찰의 감시 등이 시도될 예정이다. 해당 테스트를 계기로 도로 정체 완화, 상품 배송 효율성 제고, 이동 시간 감소, 오염 감소, 교통사고 감소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는 계획이다. 미국에서도 NASA가 VTOL 방식의 항공 이착륙을 위해 버티포트, 버티스톱 두 가지 형태의 이착륙장 운용 방안을 제안하는 등, 새로운 교통 체계를 정립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출처: 볼로콥터
독일 UAM 업체 '볼로콥터' 이미지. (출처: 볼로콥터)

 

특히 2020년 12월 싱가포르가 아시아 최초로 상용 UAM 서비스를 시작하는 나라가 됐다는 보도가 등장하면서 상용화에 한층 다가갔음을 보여줬다. 이와 관련 독일 UAM 업체 볼로콥터(Volocopter)가 싱가포르에서 2023년 에어택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한 것이다. 볼로콥터는 이를 위해 싱가포르 경제 개발 위원회(EDB, Economic Development Board of Singapore) 및 싱가포르 민간 항공청(CAAS, Civil Aviation Authority of Singapore)과 협력해 왔으며, 3년 이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고 밝혔다.

 

국내외 모빌리티 업체 UAM 사업 협력

UAM 사업이 미래 모빌리티산업 신성장동력으로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음에 따라 시장 선점을 위한 글로벌 기업 간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보잉, 에어버스 등의 기존 항공업체는 물론, 현대차, 아우디, 도요타 등 자동차업체를 비롯한 200여 개 업체가 기체 개발에 진출·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업체의 사업 진출도 이뤄지고 있다.

국내 현대차는 앞서 2019년 자체 플라잉 택시 사업부를 신설하며 에어 모빌리티 사업 진출을 공식 발표했다. 또한 현대차가 우버와 함께 UAM 사업 분야에서 협력하며 2028년까지 로스앤젤레스, 뉴욕 등 미국 대도시에서 도심용 에어택시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현대차의 호세 무노즈(Jose Munoz) 북미시장 CEO는 최근 자동차 언론 협회(Automotive Press Association)가 주최한 회의에서 “2028년 또는 더 일찍 로스앤젤레스와 뉴욕 등지에서 공항 이동을 위한 에어택시가 운행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당시 무노즈 CEO는 현대차가 이미 소규모 인원의 승객을 태우고 단거리 비행을 할 수 있는 플라잉 택시의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해당 비행체는 도심이나 교외 지역에서 승객들을 주요 공항으로 운송하는 용도로 운행 범위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우버 역시 2016년부터 우버 에어(Uber Air)를 통해 UAM 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코로나19 팬데믹 등에 따라 기존 사업에 영향을 받으며 상황이 급변했다. 결국 지난해 12월 우버는 플라잉 택시 사업을 그간 파트너십 관계를 맺어온 캘리포니아 기반 승차공유 회사 조비 에이비에이션(Joby Aviation)에 매각하기로 했다.

또 볼로콥터는 지난해 2월 동남아시아 차량호출 그랩과 에어택시 사업 협력을 발표하며 UAM 시장의 진출에 적극 나섰다. 앞서 볼로콥터는 2019년 10월 22일 열린 기술 회의에서 밀집한 도시에서 임시 볼로포트 착륙 패드(Landing pad)를 기점으로 이동하는 VTOL 항공기를 시연한 바 있다.

현재 각국에서 UAM 사업 추진에 대해 나서고 있지만, 우선 도심 내 에어택시 사업을 위해 운행 여건 개선과 공항 인근 소형 항공기 증가에 따른 도심 규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실제 도심 내 에어택시 운행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당신만 안 본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